7/15
@EnableJpaAuditing
: config 분리 vs Application에 어노테이션 설정
@NotNull
vs @Column(nullable = false)
Soft Delete 적용
타임슬롯 하나하나에 마킹 → start/end만 저장 → NoSQL/JSON으로 저장 형태 변경
available_date
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음@OneToOne
fetchType : LAZY vs EAGER
디비 연관관계 다 매핑 해야하나… 지하철 노선도마냥 너무 복잡하다..
Meeting
에 있는 시작시간아이디, 종료시간아이디 등등
TimeSlot
없애고 그냥 시간값만 넣기TimeSlot
테이블이 필요 없을 수도 있을 것 같고, 값을 그대로 저장하는 건 어떨까
TimeSlot
테이블을 검증용으로 사용하고 있고, 시간에 관련된 모든 컬럼들에 대해 time_slot_id를 사용하고 있음7/15
meeting1의 다온과 meeting2의 다온을 구분하기 어려움
7/18
Schedule
수정하는 로직
사용자가 최초 시간을 등록할 때 시간과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간을 수정할 때(또는 등록할 때)시간을 어떻게 로그 정보에 담을까?
비트마스킹 활용 가능하지 않을까? → 교집합 구할 때 매우 편할듯?